[경제 = 하이코리언뉴스] = 무디스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강등한 이후,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가 급등하며 주택 시장에 충격을 주고 있다. 지난 19일 NBC는 모기지 뉴스 데일리를 인용해 30년 고정 모기지 평균 금리가 7.04%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이는 지난 4월 11일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전통적인 주택 거래 성수기인 봄철에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모기지 금리는 일반적으로 1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과 함께 움직이는데, 무디스가 미국의 재정 악화를 이유로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하자 국채가 대거 매도되며 수익률이 치솟았고, 이에 따라 모기지 금리도 상승했다.리얼터닷컴 수석 이코노미스트 제이크 크리멜은 “국채 수익률이 오르자 모기지 금리도 자연스럽게 뛰었다”며 “이는 주택 구매자들에게 상당히 불리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모기지은행협회(MBA)에 따르면 최근까지 6.9% 선에서 횡보하던 금리가 7%를 넘자 주택 구매 수요가 다시 급감했다.지난해 주택 거래는 3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고금리와 정책 불확실성, 건축 자재 비용 부담에 시달리는 건설업체들은 올해도 어두운 전망을 내놓고 있다.
미국주택건설업협회(NAHB)는 이달 들어 34%의 건설업체가 평균 5% 수준의 가격 인하에 나섰다고 밝혔다. 이는 전달의 29%보다 상승한 수치로, 금리 상승이 주택시장 전반에 부담을 주고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