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포럼"코로나 일주년(一週年)"

Submitted byeditor on월, 03/29/2021 - 16:26

[하이코리언뉴스/편집국] = 코로나바이러스가 미국을 공격한 지도 만 1년이 지났다.뉴노멀 시대라는 신조어를 만들고 비대면이 없으면 사회 기능이 마비될 정도로 예전에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시대에 살고 있다.지난 1년 회상할 때 사람마다 처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적어도 원하지 않는 생활을 강요받는 것만큼은 같을 것이다.

"Credit : 주간현대 김동열 발행인

욕망과 갈망

한 지인은 코로나 시대를 보내면서 욕망은 많이 줄었는데, 대신 갈망이 늘었다고 한다.보통 사람에게 욕망이 줄고 세상을 공생과 공존으로 본다는 것은 매우 큰 진전이고 공동체의 융화를 위한 긍정적인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갈망은 우리가 모두 그리워 하고 있는 숙제이기도 하다.코로나가 우리에게 안겨준 가장 피해는 소통과 만남의 단절을 꼽을 수 있다.코로나 전에 하루 20통 이상 전화가 왔다고 가정하면 지금은 거의 20~30% 수준으로 감소된 것을 느낄 수 있다.사람들 사이에서 나눌 공동관심사도 줄어들었고 꼭 해야 할 의욕도 감소된 것이다.그리고 만나기 힘든 시대의 세류에 따라 노력이 감소된 점도 부인하기 힘들다.

코로나 시대를 ‘단절의 시대’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아마도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가기 위해선 소통과 대화를 회복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일이 될 수도 있다.또한, 코로나 안겨준 받기 싫은 선물은 사회적인 불안이다.코로나가 중국 우한에서 시작되었다고 아시아인에게 책임지라는 위협이 증가하고 하고 있다.지난달 한 중국계 할머니가 샌프란시스코 마켓 스트릿에서 걸어가다가 괴한의 갑작스러운 공격으로 눈을 얻어 막고 가장자리가 시퍼럽게 멍들다.

증오범죄

후일 부상 부분이 다소 회복되고 일상의 어려움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괴한으로 얻은 맞은 그 할머니는 가지고 있던 지팡이로 즉각 반격에 나서 경찰이 어렵지 않게 체포할 수 있었다. 이번 사건은 노인과 여성들에게 상당한 공포심을 불러일으켰지만, 한편 따뜻한 정도 느낄 수 있었다.할머니의 치료비에 사용하라고 거의 1백만불이 단기간 모금되었는데 그녀는 전액을 아시아계 증오범죄 반대 비영리단체에 기부했다.

참으로 중국인다운 처신이라고 생각한다.피해자가 자신의 부상보다 공익을 먼저 생각하기는 매우 힘든 일이다. 고 인촌 김성수 선생은 항상 ‘공선사후 (公先私後)’를 강조하셨다.공동체의 이익이 개인의 이익보다 앞선다는 뜻이다.아시아인에 대한 증오범죄는 쉽게 수그러들 것 같지 않다.모두 조심하고 공동체의 연대 의식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각팍해진 경제

코로나가 남기 또 다른 피해는 경제적인 어려움이다.특별히 하루 벌어서 하루 먹고사는 사람들에게 코로나는 그야말로 공적(公敵)이다.코로나로 인해 수많은 일자리가 사라지고 스몰비즈니스를 하는 분들을 사지로 몰아넣고 있다. 그동안 정부가 공적 자금을 퍼부어 그런대로 유지하고 있지만, 언제까지 지급될지 상당히 불안하다.

경제 활성화가 서민들에게 가장 중요한데 어떻게 될 것지 모르겠다.일부 기업에서 코로나 기간에 적극적인 구조조정을 하여 더 적은 인원으로 더 많은 이익을 얻고 있다.그런 회사들은 더 이상 직원을 부르지 않을 것이다.코로나에서 적은 고용으로 더 많은 이익을 낼 방법을 발견한 것 아니겠나.근로자들은 직장을 찾아 나서지만 녹록지 않은 것도 현실이다.

홈디포에 가보면 문 앞에 일직용 노무자들이 다시 늘고 있다고 한다.코로나로 다소 수그러들었는데 다시 늘어난 것이다.그런 분들을 고용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이유가 바로 코로나 감염증이 아직도 활보하기 때문이다.실업자가 지금처럼 높은 수준에 머물면 그만큼 사회적 불안은 올라갈 수밖에 없다.경제적인 어려움이 더 이상 가중되지 않도록 정부와 기업은 근로자를 배려해야 한다.코로나가 남긴 최악의 피해는 교육이다.

실종된 교육

세계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모든 면에서 정체 현상을 빚고 있지만 가장 심각한 것은 교육부재라고 생각한다.학생들은 코로나로 학교 수업이 전면 봉쇄되면서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되었다.집에서 인터넷을 통해 공부하는 시스템이다.대부분 집에 인터넷과 컴퓨터를 가지고 있지만 그렇지 못한 가정도 적지 않다고 한다.

그리고 비대면 수업을 하니 정부가 제공하는 따뜻한 점심을 먹을 수가 없다.하루 한 끼라도 제대로 영양 공급을 받던 어린이들에겐 감당하기 어려운 빈곤이다.영양가 있는 식사에 근접할 수 없다는 것은 정상적인 발육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부모들의 피로감도 이루 말할 수 없다.아침에 일어나면 자녀들과 전쟁이 시작되고 밤 자리에 들 때는 몸이 천근만근이 된다는 하소연도 그냥 하는 소리가 아니다.지금같은 교육부재는 미래 미국의 발전에도 상당한 공백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코로나바이러스 일주년을 맞이하여 그 감회를 어찌 다 글로 표현하겠나.

몸이 불편한 부모님은 물론 한국에 있는 형제와도 만날 수가 없다.한국을 가려 해도 끔직한 ‘자가격리 14일’이라는 규정으로 대부분 교민이 뒤로 미루고 있다.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살맛이 줄었다는 것이 올바른 표현 아니겠나.일부 미래학자들은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가지 못할 것이라고 한다.

어쩌면 해마다 독감 예방 주사를 맞는 것처럼 코로나 백신 접종을 해야 하는 시대가 올지 모른다.그저 하루하루를 주어진데로 살기를 원할 뿐이다.코로나가 남긴 큰 소득은 겸손해지고 자신을 돌아보는 성찰의 시간을 주었다는 것 아닐까.

칼럼 출처 : 주간현대 김동열 발행인 <hdnewsusa@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