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하이코리언뉴스] 편집국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한국과 일본 등 동맹국과 멕시코와 캐나다를 비롯한 이웃국가들 을 포함하는 25개 주요 교역국가들에게 25 내지 3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고 협상타결을 압박 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출범이후 2.5%였던 관세를 16.6%로 올려 물가급등 없이 1000억달러 이상 관세수입을 올렸으나 올 하반기에는 가격상승, 소비위축, 경기둔화로 연쇄 타격 입을 위험을 안고 있는 것으로 경고 받고 있다.
트럼프 관세카드에서 8월 1일이 새로운 분수령으로 다가오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과 일본 등 동맹국들에 이어 유럽연합, 그리고 최대 교역국들이자 이웃국가 들인 멕시코와 캐나다에도 8월1일부터 부과할 관세율을 공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8월 1일부터 유럽연합과 멕시코에는 30%의 관세를, 캐나다에는 3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로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과 일본 등 동맹국들에 25%를 비롯해 모두 25개 주요 교역국가들에 대해 25 내지 30%, 35%, 최대 50%까지의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가장 놓은 관세를 매긴 국가는 브라질로 전직 대통령 기소를 문제삼아 50%나 부과키로 경고해 양국간 긴장이 높아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나 이들 25개 국가들에 대해 미국에 더많이 투자하든지, 미국산을 더 많이 사든지 카드를 제시하고 관세율을 낮추도록 압박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돼 8월1일이 중대 분수령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1월20일 출범이래 평균 관세를 2.5%에서 16.6%로 대폭 올려 현재까지 1000억달러 이상 관세 수입을 받아 냈다.미국의 물가는 5월 CPI 2.4%, PCE 2.3%로 다소 올라갔으나 관세 여파로 눈에 띄게 급등하지는 않은 것 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등에 대한 품목관세는 지속 부과했으나 각국에 대한 상호관세는 90일간 유예했 고 7월 8일 만료후에도 다시 8월 1일로 늦춰 협상 타결과 관세율 낮추기 가능성을 열어두었기 때문에 관세여파를 최소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8월 1일 이전에 협상 타결과 관세율 낮추기에 미흡하면 올 하반기 관세무역 전쟁이 곁잡을 수 없이 격화되고 연쇄 경제 타격으로 악순환에 빠질 것으로 경고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까지 3개국과의 협상을 타결해 영국 10%, 중국 30%, 베트남 20%로 관세를 절반 이하로 낮춰 놓고 있다.미국의 수입업자들은 보편관세 10%는 견딜 수 있으나 25%이상의 관세부과시에는 수입품에 대한 가격 인상을 피할 수 없다고 못박고 있어 수입품들의 가격이 줄줄이 오르고 전반적인 미국물가가 흔들리게 될 것으로 예고되고 있다.
미국 수입업자들은 물론 수출업자들 까지 교역을 중단해 미국내 물자공급에 심각한 차질을 빚고 가격 급등을 불러오거나 물건을 사지 않는 소비급냉으로 경기냉각,불경기에 추락할 위험이 생길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