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검찰,전자송금 결제 플랫폼 Zelle 모기업 기소

Submitted byeditor on목, 08/14/2025 - 17:37

[사회 = 하이코리언뉴스] 편집국 = 요즘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전자송금 결제 시스템 Zelle이 뉴욕 검찰에 의해서 기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10억달러 규모의 사기를 방치했다는 이유에서다.뉴욕 검찰은 Zelle이 필수 보안장치를 도입하지 않아서 소비자들이 10억달러라는 큰 손해를 입게됐다고 지적했다.

"

Zelle의 모기업은 Early Warning Services, LLC로 흔히 EWS로 불리는데 대형 은행들의 컨소시엄이다.EWS에 참여한 은행들은 Bank of America를 비롯해서 Capital One, JPMorgan Chase, 그리고 Wells Fargo 등이다.

Zelle을 소유한 이들 대형 은행들은 지난 수년 동안 보안 취약성을 인지하면서도 방치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데 NY 검찰은 Zelle에 추가 보안 강화와 손해배상, 피해자 배상 등을 요구했다.최근 대세가 되고 있는 전자송금 결제 시스템에 경종을 울리는 소송이 제기돼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뉴욕 주 검찰이 미국의 대표적인 전자송금 플랫폼 "젤(Zelle)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것이다.리티샤 제임스(NY Attorney General Letitia James) 주 법무부 장관은 젤이 필수적인 보안 장치를 도입하지 않았다고 지적하고 그 때문에 사기범들이 소비자들을 상대로 해서 무려 10억 달러 이상을 빼앗을 수 있었다고 발표했다.

이번 소송은 맨해튼 주 법원에 접수됐으며, 젤의 모회사 ‘얼리 워닝 서비스(Early Warning Services)’와 이를 소유한 7대 대형 은행들이 지난 수년 동안 보안 취약성을 인지하고도 대처를 미뤘다는 것이 핵심이다.젤은 지금부터 8년 전이었던 2017년 서비스를 시작해 페이팔 ‘벤모(Venmo)’, 블록 ‘캐시앱(Cash App)’ 등과 경쟁하고 있다.

모회사 지분은 뱅크오브아메리카, JP모건체이스, 웰스파고 등 월가에서도 최고의 대형 은행들이 보유하고 있다.뉴욕 검찰은 젤 플랫폼에서 미승인 계좌이체, 허위 상품·서비스 판매, 은행·공공기관 사칭 등 다양한 사기 유형이 발생한 것을 확인했다고 지적했다.피해자 중에는 전기요금 체납을 이유로 1,477달러를 송금하게 하거나, 강아지 분양을 빌미로 2,600달러를 받아낸 뒤 추가금을 요구한 사례도 있었다.

리티샤 제임스 뉴욕 법무부 장관은 소송을 제기한 것을 알리면서 어느 누구도 사기 피해 후 홀로 싸우게 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리티샤 제임스 뉴욕 주 법무부 장관은 젤에 대해서 추가 보안 강화, 피해자 배상, 손해배상 등을 요구했다.젤 측은 거래의 99.95% 이상이 사기 없이 이뤄지고 있으며, 이번 소송은 정치적 보여주기라며 혐의를 인정하지 않고 반박했다.

연방 소비자금융보호국(CFPB)은 올해(2025년) 3월 비슷한 내용의 소송을 제기했다가 철회했는데, NY 검찰은 주 차원의 강경 대응 방침을 밝힌 것이다.